성조숙증일까요? 너무 걱정돼요 ㅠㅠ
이천
2020.04.02 15:45
- 질환 정보
- 환자 정보
-
2 2012-08-09
초등학교 2학년 여자아이이구요, 가슴몽우리가 한달전부터 만져져서 문의드려요. 성조숙증일까요? 성조숙증이면 생리를 늦게하는 주사가 있다고 들었습니다. 꼭 주사치료를
답변내용
안녕하세요. 이천함소아한의원 장재찬대표원장입니다.
아이 성조숙증으로 걱정이 많으시죠?
성조숙증은 여아의 경우 만 8세 이전에 유방 발달이 시작된 경우를 말합니다.
조기사춘기는 여아의 경우 만 8-9세 곧, 만 10세 이전에 사춘기가 출현하는 경우를 말하죠.
기질적인 문제없이 2차 성징이 발생하는 경우를 특발성 성조숙증이라고 합니다,
특발성의 경우가 여성 성조숙증의 80-95% 정도 됩니다.
대부분의 특발성 성조숙증은 영양상태와 비만의 영향으로 체내 지방조성이 일정 이상이 되면 사춘기 시작을 유도하게 됩니다,
혹은 유전적 요소에 의해서 비만이 아닌데도 툭발성 성조숙증이 생기게 되기도 합니다.
양방에서는 생식샘자극호르몬방출호르몬 작용제(gonadotropin-releasing hormone agonist, GnRHa)를 주사합니다.
유전적 성장치에 비해 손실이 많이 날 것으로 예상되는 경우, 손실을 최소화 하기 위한 목적으로 사용됩니다.
사춘기 초기에 사춘기의 진행을 억제함으로써 조기 사춘기로 인해 미처 자라지 못한 소아기 성장을 확보하려는 의미도 가지고 있습니다.
하지만 단순히 초경을 늦춘다고 해서 키를 더 키울 수 있는 것은 아닙니다.
구체적으로 골연령이 실제 연령보다 2살 이상 앞선 경우,
예측성인신장이 유전적 목표신장보다 약 10cm이상 작을 때,
예측 성인신장이 150cm미만 일 때 사용하는 것이 보통입니다.
치료효과는
1년 치료시 성인신장 1.5-2cm 추가성장을 기대하고
2년정도 치료시 4-5cm 정도 추가성장을 기대합니다.
치료를 중단하면 평균적으로 6-18개월이내애 초경이 시작됩니다.
GnRHa 치료의
불충분한 억제시 시상하부-뇌하수체-성선 축이 오히려 자극되어 성조숙증의 악화를 초래한다고 보고되어있습니다.
또, 과도하게 억제할 경우 성호르몬농도 감소로 인해 성장호르몬의 생성감소로 인해 성장속도가 저하된다는 보고가 있습니다.
성장속도가 곧바로 줄어들지않고 치료중 2-3개월째에 갑자기 성장이 멈추기도 한다는 사례보고가 있습니다.
GnRHa의 부작용으로는
장기적으로는 골밀도 감소, 체증증가, 우울증이 올수 있다는 보고가 있습니다.
한의학에서는 환아가 성조숙증과 조기사춘기가 발생한 원인을 찾아서, 원인을 근본적으로 치료할수 있도록 한약치료를 하게 됩니다.
아이 성조숙증으로 걱정이 많으시죠?
성조숙증은 여아의 경우 만 8세 이전에 유방 발달이 시작된 경우를 말합니다.
조기사춘기는 여아의 경우 만 8-9세 곧, 만 10세 이전에 사춘기가 출현하는 경우를 말하죠.
기질적인 문제없이 2차 성징이 발생하는 경우를 특발성 성조숙증이라고 합니다,
특발성의 경우가 여성 성조숙증의 80-95% 정도 됩니다.
대부분의 특발성 성조숙증은 영양상태와 비만의 영향으로 체내 지방조성이 일정 이상이 되면 사춘기 시작을 유도하게 됩니다,
혹은 유전적 요소에 의해서 비만이 아닌데도 툭발성 성조숙증이 생기게 되기도 합니다.
양방에서는 생식샘자극호르몬방출호르몬 작용제(gonadotropin-releasing hormone agonist, GnRHa)를 주사합니다.
유전적 성장치에 비해 손실이 많이 날 것으로 예상되는 경우, 손실을 최소화 하기 위한 목적으로 사용됩니다.
사춘기 초기에 사춘기의 진행을 억제함으로써 조기 사춘기로 인해 미처 자라지 못한 소아기 성장을 확보하려는 의미도 가지고 있습니다.
하지만 단순히 초경을 늦춘다고 해서 키를 더 키울 수 있는 것은 아닙니다.
구체적으로 골연령이 실제 연령보다 2살 이상 앞선 경우,
예측성인신장이 유전적 목표신장보다 약 10cm이상 작을 때,
예측 성인신장이 150cm미만 일 때 사용하는 것이 보통입니다.
치료효과는
1년 치료시 성인신장 1.5-2cm 추가성장을 기대하고
2년정도 치료시 4-5cm 정도 추가성장을 기대합니다.
치료를 중단하면 평균적으로 6-18개월이내애 초경이 시작됩니다.
GnRHa 치료의
불충분한 억제시 시상하부-뇌하수체-성선 축이 오히려 자극되어 성조숙증의 악화를 초래한다고 보고되어있습니다.
또, 과도하게 억제할 경우 성호르몬농도 감소로 인해 성장호르몬의 생성감소로 인해 성장속도가 저하된다는 보고가 있습니다.
성장속도가 곧바로 줄어들지않고 치료중 2-3개월째에 갑자기 성장이 멈추기도 한다는 사례보고가 있습니다.
GnRHa의 부작용으로는
장기적으로는 골밀도 감소, 체증증가, 우울증이 올수 있다는 보고가 있습니다.
한의학에서는 환아가 성조숙증과 조기사춘기가 발생한 원인을 찾아서, 원인을 근본적으로 치료할수 있도록 한약치료를 하게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