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장치료는 언제부터가 좋은가요
부산 서면
2020.04.02 17:51
- 질환 정보
- 환자 정보
-
1 2016-01-03
16년 1월생 남아인데요. 아이가 원에가면 또래에 비해 많이 작아요. 남편은 평균인데 제가 좀 작은편이라 걱정이되서요. 성장치료는 언제부터가 적기인지 알고 싶어요. 좀?
답변내용
안녕하세요.
부산 서면 함소아한의원 이병호 원장입니다.
아이가 만 4세 2개월 남자 아이인데 또래에 비해서 좀 많이 작아 보이는 모양이네요.
1월생이면 사실 또래 아이들 사이에서도 생일이 빠른 축에 속해서 1월생 평균치만 따라가도 반에서 중간 이상은 되어야 하는데요. 아이의 정확한 키를 먼저 좀 알아보는 것이 좋겠습니다. 만 4세 1개월 남자아이의 표준 신장은 103.6cm이며, 표준 체중은 17킬로그램 입니다.
이맘때 아이들은 자라는 속도가 좀 들쑥날쑥이라 반에 큰 아이들이 많으면 우리 아이가 좀 작아보이기도 하거든요. 그래서 통계 표준 신장으로 비교해 보아야 합니다.
혹시 아이가 103.6cm에 비해서 많이 작다면 작은축에 속하는 것이 맞기는 합니다.
만 3세 전 아이들은 사실 키가 별 의미가 없습니다. 키를 정확하게 측정하기도 어렵고, 키보다는 체중이 성장의 중요한 지표가 됩니다.
하지만 만 3세를 넘어서부터는 키가 의미를 갖기 시작하고, 아이가 표준치에 비해서 현저히 작다면 성장에 대해 신경을 쓰기 시작해야 합니다.
문의하신 아이는 만 4세가 넘었기 때문에 필요하다면 성장판 사진을 찍어서 아이가 어떻게 자라고 있는지 객관적으로 평가해 볼 수 있는 나이이기도 합니다. 뼈사진을 찍어보면 아이의 뼈 나이를 알수 있는데, 만약 아이가 표준 신장보다 작지만 뼈 나이가 어리게 나온다면, 태어나서부터 시간은 4년 1개월이 흘러갔지만 아직 뼈가 덜 성숙한 것이므로 더 자랄 수 있는 가능성이 높으므로 잘 자랄 수 있는 환경을 만들어준다면 좀 더 자라게 할 수 있습니다.
만약 뼈나이가 현재 나이와 같은데도 불구하고 아이 키가 작다면 뼈가 성숙할 만큼 성숙했는데 키가 안자란 것이므로 아이가 작게 자라고 있는 것이 맞으며, 기회를 봐서 성장 치료를 해 보는 것이 좋겠습니다.
성장치료는 만 4세를 넘어서부터 가능합니다만 적극적인 성장치료는 보통 만 6세 이상, 초등학교에 들어가서부터 시작하는 편입니다. 그 전에는 아이가 표준에 비해 잘 자라지 못하는 요소를 해결해 주어 자랄 수 있는 바탕을 만들어주는 것이 치료의 목표가 됩니다.
즉, 감기나 비염 등으로 자주 아픈 아이들은 질환에서 벗어나게만 해 줘도 남는 에너지가 성장에 쓰이게 되고, 소화기관이 약한 아이들은 좀 더 잘 먹게 또는 좀 더 흡수를 잘 하게 만들어주면 성장에 도움이 되는 것 등입니다.
만 6세 이상부터는 성장판을 자극하고, 기운이 팔다리쪽으로 잘 흘러가도록 도와주는 침치료와 운동치료 등을 병행할 수 있으므로 적극적인 치료가 가능합니다.
초등학교에 들어가기 시작하면 아이들이 사회적인 신장이란 것을 느끼게 됩니다. 유치원까지는 아이들끼리 둥글게 앉아서 놀고, 짝도 마음에 드는 아이와 할 수 있지만 학교에 가게 되면 자연스럽게 줄을 서게 되고, 덩치가 큰 아이들을 만나게 되면서 사회적으로 아이가 위축되고 스트레스를 받게 되는 경우가 많아지므로 만8세 이전에 아이가 적극적인 성장치료 대상자라면 치료를 시작해 보는 것이 좋습니다.
도움이 되셨나요?
감사합니다.
부산 서면 함소아한의원 이병호 원장입니다.
아이가 만 4세 2개월 남자 아이인데 또래에 비해서 좀 많이 작아 보이는 모양이네요.
1월생이면 사실 또래 아이들 사이에서도 생일이 빠른 축에 속해서 1월생 평균치만 따라가도 반에서 중간 이상은 되어야 하는데요. 아이의 정확한 키를 먼저 좀 알아보는 것이 좋겠습니다. 만 4세 1개월 남자아이의 표준 신장은 103.6cm이며, 표준 체중은 17킬로그램 입니다.
이맘때 아이들은 자라는 속도가 좀 들쑥날쑥이라 반에 큰 아이들이 많으면 우리 아이가 좀 작아보이기도 하거든요. 그래서 통계 표준 신장으로 비교해 보아야 합니다.
혹시 아이가 103.6cm에 비해서 많이 작다면 작은축에 속하는 것이 맞기는 합니다.
만 3세 전 아이들은 사실 키가 별 의미가 없습니다. 키를 정확하게 측정하기도 어렵고, 키보다는 체중이 성장의 중요한 지표가 됩니다.
하지만 만 3세를 넘어서부터는 키가 의미를 갖기 시작하고, 아이가 표준치에 비해서 현저히 작다면 성장에 대해 신경을 쓰기 시작해야 합니다.
문의하신 아이는 만 4세가 넘었기 때문에 필요하다면 성장판 사진을 찍어서 아이가 어떻게 자라고 있는지 객관적으로 평가해 볼 수 있는 나이이기도 합니다. 뼈사진을 찍어보면 아이의 뼈 나이를 알수 있는데, 만약 아이가 표준 신장보다 작지만 뼈 나이가 어리게 나온다면, 태어나서부터 시간은 4년 1개월이 흘러갔지만 아직 뼈가 덜 성숙한 것이므로 더 자랄 수 있는 가능성이 높으므로 잘 자랄 수 있는 환경을 만들어준다면 좀 더 자라게 할 수 있습니다.
만약 뼈나이가 현재 나이와 같은데도 불구하고 아이 키가 작다면 뼈가 성숙할 만큼 성숙했는데 키가 안자란 것이므로 아이가 작게 자라고 있는 것이 맞으며, 기회를 봐서 성장 치료를 해 보는 것이 좋겠습니다.
성장치료는 만 4세를 넘어서부터 가능합니다만 적극적인 성장치료는 보통 만 6세 이상, 초등학교에 들어가서부터 시작하는 편입니다. 그 전에는 아이가 표준에 비해 잘 자라지 못하는 요소를 해결해 주어 자랄 수 있는 바탕을 만들어주는 것이 치료의 목표가 됩니다.
즉, 감기나 비염 등으로 자주 아픈 아이들은 질환에서 벗어나게만 해 줘도 남는 에너지가 성장에 쓰이게 되고, 소화기관이 약한 아이들은 좀 더 잘 먹게 또는 좀 더 흡수를 잘 하게 만들어주면 성장에 도움이 되는 것 등입니다.
만 6세 이상부터는 성장판을 자극하고, 기운이 팔다리쪽으로 잘 흘러가도록 도와주는 침치료와 운동치료 등을 병행할 수 있으므로 적극적인 치료가 가능합니다.
초등학교에 들어가기 시작하면 아이들이 사회적인 신장이란 것을 느끼게 됩니다. 유치원까지는 아이들끼리 둥글게 앉아서 놀고, 짝도 마음에 드는 아이와 할 수 있지만 학교에 가게 되면 자연스럽게 줄을 서게 되고, 덩치가 큰 아이들을 만나게 되면서 사회적으로 아이가 위축되고 스트레스를 받게 되는 경우가 많아지므로 만8세 이전에 아이가 적극적인 성장치료 대상자라면 치료를 시작해 보는 것이 좋습니다.
도움이 되셨나요?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