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절기 비염관리
전주
2025.09.15 11:24
- 질환 정보
- 감기,비염,보약
- 환자 정보
-
남자 2018-08-29
안녕하세요 8세 아들을 키우기 있는 엄마 입니다. 어렸을 때 부터 감기를 자주 앓아서 항상 약을 달고 살았던 아이인데요.
최근 이비인후과에서 비염이라 하더라구요. 외출을 장시간 하고 온 날에는 코가 많이 막혀서 잠자기도 힘들어 할 정도 입니다.
지금 환절기가 되니 콧물, 재채기까지 하더라구요. 더 심해질 것 같아서 안되겠다 싶어 한방 쪽 치료를 알아보았습니다.
한약은 처음이라서, 한약을 먹이면 비염이 완화가 될까요? 한약 외에 한의원에서는 비염치료를 어떻게 하나요?
최근 이비인후과에서 비염이라 하더라구요. 외출을 장시간 하고 온 날에는 코가 많이 막혀서 잠자기도 힘들어 할 정도 입니다.
지금 환절기가 되니 콧물, 재채기까지 하더라구요. 더 심해질 것 같아서 안되겠다 싶어 한방 쪽 치료를 알아보았습니다.
한약은 처음이라서, 한약을 먹이면 비염이 완화가 될까요? 한약 외에 한의원에서는 비염치료를 어떻게 하나요?
답변내용
안녕하세요?
상담하신 글을 보니 8세 된 아이를 기르고 있는데, 감기로 고생을 하다가 최근에는 비염으로 진단을 받고 콧물과 재채기 증상이 심해져서 걱정이 많다고 하셨네요.
한방으로 치료나 관리를 해보고 싶다고 하셨는데, 이에 대한 간단한 답변을 해드리도록 하겠습니다.
먼지 비염의 특징은 콧물 코막힘 재채기를 동반하는 증상입니다. 주로 환절기나 건조한 계절 혹은 봄철의 꽃가루나 미세먼지 등에 의하여 심해지는 경향이 있습니다.
비염은 유전적인 소인도 영향을 끼치는데, 만약 부모님이 다 비염 소견이 있는 경우 아이들이 비염으로 진행될 가능성이 다소 높습니다.
비염은 대략 어린 4-5세 시기에 증상이 나타나서 초등학생이나 사춘기 이전까지 진행되는 경향을 보이다가 사춘기 이후로 면역력이 개선되면 호전되는 경우도 있습니다.
다만 만약 사춘기 이후 학업연령기에도 비염이 심해지면 성인까지 진행될 수 있습니다.
비염이 진행되면 학업 연령기에 1) 집중력 저하 2) 콧물과 코막힘 재채기로 생활에 불편감 3) 심한 코막힘으로 숙면을 취하지 못하는 경우 면역력 저하 4) 심해지는 경우 부비동염으로 진행 되는 경우가 있어서 만성화가 되기 전에 치료나 관리를 해주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한의학적 비염 치료는 1) 경혈 침치료 2) 뜸—기기구술 치료 3) 호흡기 치료 4) 한약 치료 등 여러 가지고 있고, 특히 비염에 대한 치료는 지난해부터 탕약이 보험처방이 가능해서 한약을 복용하는 환자들의 부담을 많이 줄인 처방이 가능해졌습니다.
(한약 처방은 아이의 증상이나 체질 및 체중에 따라서 한약의 배합과 용량이 각각 달라질 수 있으니 반드시 아이를 진찰한 후에 처방이나 치료를 결정하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일단 아이에 대한 한방적인 치료를 하고 싶으신 경우에는 가까운 한의원이나 나이가 어리므로 소아(어린이)한의원에 내원하시면 선생님께서 자세히 관찰후에 치료에 대한 의견이나 설명을 해주실 것입니다.
상담하신 글을 보니 8세 된 아이를 기르고 있는데, 감기로 고생을 하다가 최근에는 비염으로 진단을 받고 콧물과 재채기 증상이 심해져서 걱정이 많다고 하셨네요.
한방으로 치료나 관리를 해보고 싶다고 하셨는데, 이에 대한 간단한 답변을 해드리도록 하겠습니다.
먼지 비염의 특징은 콧물 코막힘 재채기를 동반하는 증상입니다. 주로 환절기나 건조한 계절 혹은 봄철의 꽃가루나 미세먼지 등에 의하여 심해지는 경향이 있습니다.
비염은 유전적인 소인도 영향을 끼치는데, 만약 부모님이 다 비염 소견이 있는 경우 아이들이 비염으로 진행될 가능성이 다소 높습니다.
비염은 대략 어린 4-5세 시기에 증상이 나타나서 초등학생이나 사춘기 이전까지 진행되는 경향을 보이다가 사춘기 이후로 면역력이 개선되면 호전되는 경우도 있습니다.
다만 만약 사춘기 이후 학업연령기에도 비염이 심해지면 성인까지 진행될 수 있습니다.
비염이 진행되면 학업 연령기에 1) 집중력 저하 2) 콧물과 코막힘 재채기로 생활에 불편감 3) 심한 코막힘으로 숙면을 취하지 못하는 경우 면역력 저하 4) 심해지는 경우 부비동염으로 진행 되는 경우가 있어서 만성화가 되기 전에 치료나 관리를 해주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한의학적 비염 치료는 1) 경혈 침치료 2) 뜸—기기구술 치료 3) 호흡기 치료 4) 한약 치료 등 여러 가지고 있고, 특히 비염에 대한 치료는 지난해부터 탕약이 보험처방이 가능해서 한약을 복용하는 환자들의 부담을 많이 줄인 처방이 가능해졌습니다.
(한약 처방은 아이의 증상이나 체질 및 체중에 따라서 한약의 배합과 용량이 각각 달라질 수 있으니 반드시 아이를 진찰한 후에 처방이나 치료를 결정하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일단 아이에 대한 한방적인 치료를 하고 싶으신 경우에는 가까운 한의원이나 나이가 어리므로 소아(어린이)한의원에 내원하시면 선생님께서 자세히 관찰후에 치료에 대한 의견이나 설명을 해주실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