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신한약, 산후보약, 산모보약 Q&A?
- 마포 함소아한의원 양은성 원장
동의보감에 '부인'편이 따로 나와 있을 정도로 선조 때부터 이미 수백 년에 걸쳐 산모를 위한 처방에 대한 안전성이 입증되었습니다.
2019년 3월 일본에서 발표된 연구 논문을 보면 한약 복용이 기형, 저체중, 조산 등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해당 일본 연구팀은 2005년부터 2016년까지 일본 의학데이터센터에 등록된 자료를 활용하여 입덧이 없는 임산부과 입덧 때문에 한약을 복용한 임산부, 위약을 복용한 임산부를 비교 분석한 결과 3개 군 모두 기형아 발생률에 큰 차이가 없었습니다.
저도 임신 준비기부터 출산까지 한약을 복용했습니다. 임신 준비기에는 다낭성 난소증후군 소견이 있어서 자궁과 난소를 튼튼하게 하고 호르몬 분비를 원활하게 하는 한약을 복용했습니다. 한약 반 제 복용하고 임신이 바로 됐고요.
임신 초기 입덧 완화에는 이진탕, 막달까지 일했기 때문에 임신 중기에는 태아 안정을 위한 안태음을 복용했습니다. 출산 한 달 전에는 자궁수축력을 증대하여 순산하고 산후 회복력을 높이는 달생산을 2주간 복용했고 무통주사 없이 건강하게 자연분만 하였습니다.
물론, 임신 중에 사용하지 말아야 할 약재들과 신중히 사용해야 하는 약재들이 있고 각각의 체질에 따라 맞지 않는 약재들이 있기 때문에 임신 중 처방명이 명확하지 않은 한약이나 한방식품을 함부로 복용해서는 안 됩니다. 꼭 한의원을 찾아 건강상태를 진찰받고, 각 체질에 맞으면서 안전하다고 인증된 한약재로 구성된 처방을 복용하는 것이 바람직합니다.